자소서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중고신입 경력 미기입
중고신입 도전 예정인데 입사한지 얼마 안되어서 이력서에 경력을 기입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추후 문제가 될 일이 있을까요? 4대보험 제출하라는 회사도 있다는데 맞나요? 그럼 다 적어야하는건가요?
2024.09.29
답변 8
- 곰직원대웅바이오코상무 ∙ 채택률 96%
채택된 답변
안녕하세요. 멘티님. 중고 신입 전략은 경력 이직에 지원을 하시는 것이 아니라 1~3년 정도의 짧은 자신의 경력 인정을 포기하고, 신입 채용에 지원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당연히 경력자가 본인 경력을 포기하고, 연봉을 깍아서 신입으로 지원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득인 것이고, 지원자는 현 기업 레벨보다 상승 이직이 가능하고, 향후 더 높은 연봉 및 복지 등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보고 지원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서로에게 윈-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앞서 말하였듯이 신입 채용에 지원을 하는 것 입니다. 신입 채용에는 경력 증빙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1년 이내에 너무 짧은 경력이라면 경력 기재하기에도 애매해서 짧은 기간에 이직하는 사람으로도 볼 수 있기 때문에 자소서 내용 정도에 기재를 하시면 되구요. 이 경우 경력 증빙 요구 거진 안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추후 문제 생길 소지도 없습니다.
함께 읽은 질문
Q. lg화학 아르바이트
졸업을 앞두고있는데 이번 방학에 lg화학에서 올라온 실험 준비 및 시료 제작하는 연구보조 알바를 2개월정도 하는거 어떤가요?
Q. 대학 졸업 후 취업의 방향성을 못잡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올해 2월 졸업하여 취업준비중인 취준생입니다. 4년제 대학 사학/국제통상학을 전공했고 학점도 4점대인데요. 학부시절, 교육기업에서 4개월간 인턴을 해서 저의 전공을 살리기보다는 교육업에서 종사하고 싶다는 막연한 생각에 일단 교직원 계약직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러던 와중에 우연히 공공기관 청년인턴에 최종합격하게 되었는데 기록물관리업무라 사실 제가 원하던 부서도 아니기도 하고 이걸 나중에 활용할 수 있을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사학전공이다보니 약간의 연관성은 있으나 관련 업무를 하려면 대학원진학을 해야하다보니 전혀 생각하지 않았던 분야입니다.) 공백기가 길어지니 우선 전공/관심분야와 무관한 인턴이라도 하는 것이 좋을지 아니면 다른 길을 찾아봐야할지 고민입니다. 얘기가 길어졌는데 공공기관 청년인턴(6개월, 4대보험 적용) VS 대학교 계약직(1년) 중에 고민입니다...
Q. 교양 C+ 재수강
제가 1학년때 들은 미적분2가 C+이 나왔는데 혹시 재수강 하는 게 좋을까요? 현재 2학년입니다. 만약 재수강해야 한다면 2학년 계절에 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2-3학년 전공과목 성적을 보고 3학년 겨울 계절이나 4학년때 재수강하는 것이 더 좋을 까요?
궁금증이 남았나요?
빠르게 질문하세요.